맨위로가기

미야모토 무사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야모토 무사시는 1584년경 출생하여 1645년에 사망한 일본의 검술가, 병법가, 예술가이다. 그의 본성은 후지와라 씨이며, 니텐, 니텐 도라쿠 등의 호를 사용했다. 그는 이도류 검술을 창시하고, 검술 외에도 서예와 수묵화에 능했으며, 저서로 《오륜서》를 남겼다. 무사시는 간류섬의 결투와 교토에서의 요시오카 가문과의 대결 등 수많은 결투를 치렀으며, 오사카 전투에 참전하기도 했다. 그의 생애는 소설, 영화, 만화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소재가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일본과 세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마모토번 사람 - 호소카와 다다오키
    호소카와 다다오키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호소카와 후지타카의 장남이며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센노 리큐의 제자이자 호소카와 가라샤에 대한 깊은 사랑으로 유명하다.
  • 거사 - 이백
    이백은 당나라 시인으로, 방랑 생활을 하다가 현종의 부름을 받아 관직에 올랐으나 사직하고, 두보와 교류하며 여행하다가 반란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며, 스케일이 크고 자유로운 시풍으로 중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거사 - 센노 리큐
    센노 리큐는 일본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다인으로 와비사비 미학을 다도에 구현하여 일본 다도의 기틀을 확립했으며,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다인으로 활동하며 다도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히데요시의 분노를 사 할복으로 생을 마감한 인물이다.
  • 미야모토 무사시 - 미야모토 이오리
    미야모토 이오리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사이자 미야모토 무사시의 양자로, 무사시 사후 오가사와라 다다자네를 섬기며 시마바라의 난에서 공을 세워 가문 내 최고위 가신으로 출세하고 후대에 그의 충성심과 능력을 기리는 일화와 무사시의 업적을 기리는 장덕비 건립으로 알려졌다.
  • 미야모토 무사시 - 오륜서
    미야모토 무사시가 밀교의 오륜 사상을 바탕으로 자신의 유파인 니텐이치류의 검술과 전략, 철학을 담아 저술한 병법서인 오륜서는 땅, 물, 불, 바람, 공의 다섯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야모토 무사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무예 정보
가족 정보
기타 정보
작품

2. 이름

본관은 '''후지와라씨'''이며, 묘지(名字)는 '''미야모토'''(宮本) 또는 '''신멘'''(新免)이다. 아명은 '''벤스케'''이며, 통칭(백관명)은 '''무사시'''이다. 휘는 '''하루노부'''(玄信)이다. 호는 '''니텐''' 또는 '''니텐도라쿠'''이다. 저서 『오륜서』에서는 '''신멘 무사시노카미 후지와라노 하루노부'''라고 칭하고 있다.[7]

구마모토시 유게묘비에는 "신멘 무사시 거사"라고 적혀 있으며, 양자 미야모토 이오리가 무사시 사후 9년째인 쇼오 3년(1654년)에 세운 "신멘 무사시 하루노부 니텐 거사비"(오구라 비문)에는 "하리마 아카마쓰 말류 신멘 무사시 하루노부 니텐 거사"라고 적혀 있다.

무사시 사후 71년째인 『혼쵸 무게이쇼덴』(1716년)에서 '''마사나'''(政名)라는 이름이 소개되었다. 이를 인용한 계보나 전기, 공양탑이 널리 소개되면서 휘를 "마사나"로 하는 무사시 관련 소설이나 개설서가 많지만, 니텐이치류 문하생이나 고쿠라 미야모토 가의 사료에는 이 "마사나"라는 이름이 사용되지 않았다. 반대로 역사적 신뢰성이 완전히 부정된 무사시 계보 등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3. 출생

미야모토 무사시(宮本武蔵)의 초기 생애는 자세한 내용이 확실하지 않다. 무사시 자신은 《오륜서》에서 하리마국(播磨国)에서 태어났다고만 언급했다.[4] 무사시의 초기 전기인 《니텐기》(二天記)는 무사시가 1584년에 태어났다고 주장하며, "반슈(播州)에서 덴쇼 12년(1584년), 원숭이띠 해에 태어났다."라고 기록하고 있다.[5] 역사학자 카미코 다다시(神子忠)는 무사시의 아버지 신멘 무니사이(新免無二斎)가 미마사카국(美作国) 요시노(吉野) 지구 미야모토(宮本) 마을에 살았으며, 무사시가 아마도 여기서 태어났을 것이라고 추정한다.[6]

무사시는 《오륜서》에서 자신의 이름과 칭호를 '''신멘 무사시노카미 후지와라노 하루노부(新免武蔵守藤原玄信)'''라고 밝혔다.[7] 그의 아버지 신멘 무니사이는 뛰어난 무술가이자 검술과 주테(jitte)의 달인이었다.[6] 무니사이는 미마사카국 요시노 지구 타카야마성(高山城)의 영주인 신멘 이가노카미(新免伊賀守)의 가신이었던 히라타 쇼겐(平田将監)의 아들이었다.[8] 히라타는 신멘 영주로부터 신임을 받아 신멘이라는 성을 사용할 수 있었다. "무사시"는 "무사시노카미(武蔵守)"라는 궁정 칭호로, 무사시국의 명목상의 지사를 의미한다. "후지와라"는 무사시가 자신의 혈통이라고 주장한 씨족이다.[9]

무사시는 어렸을 때 아토피피부염(湿疹)을 앓아 외모에 영향을 받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0]

3. 1. 생년

미야모토 무사시가 직접 쓴 것으로 알려진 《오륜서》 첫머리의 "셈하건데 나이 육십"이라는 구절을 바탕으로 역산하면, 간에이(寛永) 20년(1643년)에 세는나이로 60세가 되므로 무사시의 출생 연도는 덴쇼(天正) 12년(1584년)이 된다.[30]

에도 시대 후기에 정리된 《고쿠라 미야모토 가 계도》(小倉宮本家系図) 및 《미야모토 씨 정통기》(宮本氏正統記)에는 덴쇼 10년(1582년)에 태어나 쇼호(正保) 2년(1645년)에 향년 64세로 사망하였다고 기재되어 있다.[30]

3. 2. 출생지

《오륜서》에 "태어난 구니(国)는 하리마(播磨)"(「生国播磨」)라고 기재되어 있으며, 무사시의 양자인 이오리가 건립한 고쿠라 비문이나 에도 시대 중기의 지리지인 《하리마카가미》(播磨鑑)나, 이오리 자신이 도마 신사(泊神社)에 봉납한 표찰인 《도마리진자무네후다》(泊神社棟札, 효고현 가코가와시 기무라木村 소재) 등의 기재에는 하리마 국 출생설(현재에는 효고현 다카사고시 요네다정)이 있다.[4] 에도 시대 후기의 지리지인 《도사쿠시》(東作誌)에는 미마사카 국(美作国, 오카야마현 동부) 미야모토 촌(宮本村)에서 태어났다는 기재에 의해 미마사카 출생설도 있다.[6] 이 설은 요시카와 에이지의 소설 《미야모토 무사시》 등에서 채용되어 널리 알려졌다. 소설을 토대로 오카야마현 미마사카시 등에서는 미야모토 무사시 탄생지로써 관광지 개발을 하고 있다.

3. 3. 가계

미야모토 무사시의 본성(本姓)은 후지와라 씨(藤原氏)이며,[9] 묘지(名字)는 미야모토(宮本) 또는 신멘(新免)이다. 어렸을 때 이름은 헨스케였다.[4] 무사시는 통칭(백관명)이고, 휘(諱)는 하루노부(玄信)이다. 호는 니텐(二天) 또는 니텐 도라쿠(二天道楽)이다. 저서 《오륜서》에는 신멘 무사시노카미(新免武蔵守) ・ 후지와라노 하루노부(藤原玄信)라고 적혀 있다.[7]

일본 구마모토 시(熊本市) 유게(弓削)의 묘비에는 「신멘무사시거사(新免武蔵居士)」라고 쓰여 있으며, 무사시의 양자인 미야모토 이오리(宮本伊織)가 쇼오 3년(1654년)에 세운 「신멘 다케조 하루노부 니텐 거사비」(고쿠라 비문)에는 「반슈(播州) 아카마쓰(赤松)의 말류(末流)인 신멘 다케조 하루노부 니텐 거사(播州赤松末流新免武蔵玄信二天居士)」라고 기록되어 있다.

1716년에 간행된 《본조무예소전》(本朝武芸小伝)에서는 마사나(政名)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었고, 이를 인용한 계도, 전기, 무사시 공양탑 등이 일본 내에 널리 소개되어 그의 휘를 「마사나」로 하는 소설이나 개설서가 많다. 그러나 니텐이치류 문하생이나 고쿠라 미야모토 가문의 사료에서는 「마사나」라는 이름은 쓰이지 않았다.

현재 아리마 나오스미(有馬直純)와 나가오카 사도노카미(長岡佐渡守)에게 보낸 서찰에는 〈미야모토 무사시 하루노부〉(宮本武蔵玄信)라고 적혀있고, 나가오카 사도노카미에게 보낸 서찰에는 니텐이라는 호도 함께 적혀있다.

아버지는 아카마쓰 씨(赤松氏)의 지류인 신멘 씨(新免氏)의 일족 신멘 무니(新免無二)라고 알려져 있지만, 다른 설도 있다.

《고쿠라 미야모토 계도》(小倉宮本系図)에는 무사시의 양자 이오리의 할아버지가 벳쇼 씨(別所氏)의 가신 다와라 이에사다(田原家貞)를 친아버지로 하고 무사시는 그의 차남이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이오리 자신이 쓴 《도마리 신사의 표찰》이나 《고쿠라 비문》에는 그러한 기재가 없다. 또한 무사시나 이오리에 관한 대부분의 기사를 싣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에도 중기의 히라노 요슈(平野庸脩)가 작성한 지지 《하리마카가미(播磨鑑)》에도 무사시가 다와라 집안 출신이라는 내용은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

에도 시대 후기에 정립된 《고쿠라 미야모토 가계도》에서 '신멘 무니노스케의 양자가 되었다'(為新免無二之助養子)라는 기술을 근거로 신멘 무니는 무사시의 양아버지라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신멘 무니에 대해서는 동시대에 활약한 도리류(当理流)의 미야모토 무니노스케 후지하라 가즈마와 동일 인물이라는 견해도 있다. 무사시의 양자 이오리가 봉납한 도마리 신사의 표찰에는 '有作州之顕氏神免者天正之間無嗣而卒于筑前秋月城受遺承家曰武蔵掾玄信'라고 기술하고 있다.

무사시의 양자 이오리가 남긴 기록은 생전의 무사시를 알고 있는 사람에 의해 쓰여진 것이라 비판없이 그대로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원사료가 불명확하고, 이오리가 무사시에 대해 어디까지 알고 있었는지에 대해 문제시하는 견해도 있다.

4. 생애

미야모토 무사시


미야모토 무사시는 1584년에 태어나 에도 시대 초기에 활동한 검객이자 병법가이다. 니텐이치류 검술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생애는 수많은 결투와 무용담으로 점철되어 있다.

오륜서』에 따르면, 무사시는 13세에 신토류의 아리마 기헤이와의 첫 결투에서 승리하고, 16세에는 다지마국의 아키야마라는 무예가를 이기는 등, 29세까지 60여 회의 결투에서 모두 승리했다고 한다.

무사시의 주요 생애는 다음과 같다.

날짜나이주요 사건
1596년11–12세효고현 히라후쿠에서 아리마 기헤이와 결투.
1599년14–15세효고현 북부에서 다다시마 아키야마라는 인물과 결투.
1600년16세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아버지 신멘 무니가 구로다에 봉직했다는 기록[60]에 따라, 구로다 조스이를 따라 동군으로 참전했을 가능성이 높음.
1604년19–20세교토에서 요시오카 일족과 세 번의 대결.
1607년22–23세아버지 무니사이가 무사시에게 자신의 기술을 전수함.
1612년28세시모노세키 연안 간류지마에서 사사키 고지로와 결투하여 승리.
1614–1615년30–31세오사카 전투도쿠가와 이에야스 군 소속으로 참전.
1626년41–42세양아들 미야모토 미키노스케가 할복.
1637–1638년53–54세시마바라의 난 진압에 참가.
1641년56–57세『병법삼십오개조』를 저술.
1643년58–59세레이간도로 이주하여 은둔 생활.
1645년61세오륜서』를 완성하고 폐암으로 추정되는 병으로 사망.



21세 무렵에는 교토로 올라가 요시오카 일족과 여러 번 결투를 벌여 모두 승리했다는 기록이 『오륜서』에 남아있다. 이 결투는 요시카와 에이지의 소설 『미야모토 무사시』를 비롯한 여러 문예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무사시의 결투 중 가장 유명한 것은 간류지마 결투로, 사사키 고지로와 후나시마에서 싸운 것이다.

오사카 전투에서는 미즈노 가쓰나리의 객장으로 도쿠가와 측에 참전하여 가쓰시게 휘하에서 활약했다. 이후 히메지 번 번주 혼다 다다토키와 교류하며 아카시의 도시 계획을 담당하고, 히메지·아카시 등의 성과 사찰 정원을 조성했다.

1626년, 이오리를 양자로 삼아 아카시 번 번주 오가사와라 다다자네에게 출사시켰다. 시마바라의 난에서는 고쿠라 번 번주가 된 오가사와라 다다자네를 따라 이오리도 출진했고, 무사시도 나카쓰 번 번주 오가사와라 나가쓰구의 후견인으로 출진하여 반란군의 투석에 맞아 부상을 입었다.

1640년, 구마모토 번 번주 호소카와 다다토시의 초청으로 구마모토로 가 가로 이상의 신분에게만 허용되는 매사냥이 허가되는 등 파격적인 대우를 받았다. 호소카와 다다토시 사후에도 2대 번주 호소카와 미쓰나오에게 빈객으로 대우받았다. 1643년부터 레이간도 동굴에서 『오륜서』 집필을 시작하여 1645년 사망 직전 제자 데라오 마고노스케에게 주었다.

무사시의 무예는 처음에는 엔메이류로 불렸으나, 『오륜서』에서는 니토이치류(二刀一流) 또는 니텐이치류(二天一流)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최종적으로는 니텐이치류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4. 1. 세키가하라 전투 참전 여부

미야모토 무사시의 세키가하라 전투 참전 여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 기존 학설: 무사시가 아버지 신멘 무니와 함께 구로다 요시타카(구로다 조스이)를 따라 동군으로 참전하여 규슈에 있었을 것이라는 설이다. 이는 신멘 무니가 세키가하라 전투 이전에 동군의 구로다 가문에 출사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문서[60]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 구로다 가문의 가신 다치바나 미네히라가 집필한 《헤이호타이소부슈겐신코덴라이》에서는 무사시가 구로다 요시타카의 군에 속해 분고의 이시가키바루 전투에서 서군의 오토모 요시무네 군과 싸웠으며, 출진 전의 일화와 도미쿠 성 공방전에서의 분전을 기록하고 있다.
  • 최근 연구: 무사시가 서군에 속해 참전했다는 기존의 통설과는 달리, 아버지 신멘 무니사이가 더 이상 우키타 가문을 섬기지 않았다는 역사적 기록과 전쟁 중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동맹이었던 구로다 씨족(Kuroda clan)의 씨족 기록에 무니사이 신멘의 이름이 전쟁에 참전한 가신들 중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바탕으로 무사시와 그의 아버지가 실제로 동군 편에 섰다고 주장한다.[13][14]
  • 무사시가 세키가하라 전투가 아닌 이시가키바루 전투에서 싸웠다는 견해[13]와 무니사이와 무사시가 자신들이 섬긴 구로다 씨족과 마찬가지로 전쟁 중 도쿠가와 측에 있었던 것은 당연하다는 견해[13]가 있다.
  • 또한, 무사시가 세키가하라 전투 주요 전투에서 싸우지 않았고, 대신 구로다 요시타카 휘하에서 이시다 미쓰나리의 서쪽 지방 충신들과 오이타현 이시가키바루 전투에서 싸웠다는 이론[17]도 제시되었다.


어느 쪽이든,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당시 무사시는 16세였으며, 서군 소속으로 참전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버지와 함께 동군에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전투에 참여했는지는 현재 불확실하다.

4. 2. 교토에서의 결투

미야모토 무사시는 21세에 교토로 올라가, '천하제일의 병법가'로 알려진 요시오카 일족과 결투를 벌였다고 《오륜서》에 기록되어 있다.[60] 이 결투는 소설과 영화 등 다양한 작품에서 다뤄져 널리 알려졌다.

고쿠라 비문에 따르면, 무사시는 교토에서 요시오카 일족과 세 번의 결투를 했다.

상대장소결과비고
요시오카 세이주로교토 밖 렌다이노무사시의 승리 (목도 일격)세이주로는 목숨을 건졌으나 출가
요시오카 덴시치로교토 밖무사시의 승리 (덴시치로의 목도를 빼앗아 공격)덴시치로는 사망
요시오카 마타시치로 외 수백 명교토 밖 이치죠지무사시의 승리요시오카 측은 무사시를 죽이려 했으나 실패, 요시오카 가문 멸망



그러나 고쿠라 비문의 내용은 다른 사료와 비교했을 때 사실과 다르거나 과장된 부분이 많다. 특히 세이주로와 덴시치로의 결투, 이치죠지에서의 대규모 전투는 창작일 가능성이 높다. 신멘 무니와 요시오카 가문의 대결을 아시카가 쇼군가와 연결시킨 것도 이야기의 극적 효과를 위한 창작으로 보인다.

1727년 다치바나 미네히라가 쓴 《병법대조무주현신공전래》에도 요시오카 가문과의 결투가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은 고쿠라 비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전승을 추가하여 내용을 발전시킨 것으로 보인다.

1755년 도요타 마사나가가 완성한 《무공전》에는 무사시의 제자들이 전하는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이치죠지 전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나오는데, 무사시가 제자들의 참전을 거부하고 혼자 싸웠으며, 기습 공격으로 마타시치로를 죽이고 요시오카 측을 물리쳤다는 내용이다.

이러한 기록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윤색되고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무사시와 요시오카 일족의 결투는 일본 역사에서 유명한 사건으로 남아 있다.

4. 3. 간류지마 결투

thumb(오른쪽)와 싸우는 미야모토 무사시]]

게이초 연간, 부젠 고쿠라 번 영지(현재의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간류지마에서 간류(사사키 고지로)라는 병법가와 결투를 벌였다는 '간류지마 결투'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결투는 에도 시대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림극, 조루리, 우키요에, 소설, 영상 작품 등 다양한 대중문예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1611년, 세키가하라 전투 후 무사시는 규슈 묘신지에서 좌선을 배웠다. 무사시는 호소카와 다다오키라는 다이묘 영주의 관리인 나가오카 사도에게 소개되었다. 불분명한 상황에서 무사시는 사사키 고지로라는 검객과 결투를 벌이게 되었다. 무사시는 도전을 받아들였고, 1년 후인 1612년 4월 13일 간류지마에서 싸우기로 예정되었다.[20][19] 그 날이 되자 섬에는 결투를 구경하려는 관중들로 가득 찼다. 고지로는 긴 칼날의 ''노다치''로 싸우는 것으로 유명했다.[20][19]

무사시는 고의적으로 늦게 도착했다고 한다. 배를 타고 섬으로 가는 동안 그는 를 ''보켄''(나무로 만든 연습용 검)으로 조각했다. 고지로는 기다리는 동안 참을성을 잃고 늦게 도착한 무사시를 조롱했지만, 무사시는 태연했다.[20][19] 결투는 무사시가 빠르고 치명적으로 고지로를 공격하여 머리를 향한 수직 베기로 그의 두개골을 부수면서 끝났다.[20]

4. 4. 오사카 전투 참전

오사카 전투(1614년~1615년)에서 미야모토 무사시는 미즈노 가쓰나리의 객장(客将)으로 도쿠가와 가문 측에 속해 참전했고, 가쓰나리의 아들 가쓰시게와 함께 활약했다는 것이 많은 사료에 기록되어 있다.[60] 도요토미 가문 측에 속해 참전했다는 것이 통설로 여겨졌지만, 이는 근거없는 속설이다.

1614년 오사카 전투 당시 무사시는 그의 친구인 미즈노 가쓰시게(가쓰나리)의 지휘 아래 도쿠가와군에서 활동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무사시는 가쓰나리의 깃발을 들고 있었고,[21] 가쓰나리의 아들인 미즈노 가쓰토시의 호위도 맡았다고 한다.[22] 후대에 시마바라의 난 당시, 무사시가 도쿠가와 장군에게 오사카 전투에서 미즈노 가쓰나리의 지휘 아래 복무했으며 군사 시스템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23] 무사시의 양자인 미야모토 미키노스케도 이 전투에서 가쓰나리 휘하에서 복무했다.[24]

날짜주요 사건
1614년~1615년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군대에 합류하여 오사카 전투(겨울, 여름 전투)에 미즈노 가쓰시게의 지휘 아래(1614년 11월 8일 ~ 1615년 6월 15일) 오사카 성에서 싸웠다고 여겨지지만, 중요한 공헌은 기록되어 있지 않음.


4. 5. 이후의 행적

《오륜서》에는 무사시가 13세에 아리마 기헤이와 결투하여 승리하고, 16세에 다지마 국의 아키야마라는 무예가와 결투해 승리하는 등, 29세가 될 때까지 60여 회의 승부를 벌였고 모두 자신이 이겼다고 기술하고 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신멘 무니가 동군(東軍)의 구로다 가문에 출사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구로다 가문의 문서[60]가 존재한다. 따라서 무사시는 아버지와 함께 구로다 죠스이를 따라 동군으로 참전해 규슈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헤이호타이소부슈겐신코덴라이》에서는 구로다 요시타카의 군에 속해 분고의 이시가키바루 전투에서 서군의 오토모 요시무네 군과 싸웠으며, 도미쿠 성 공방전에서의 분전을 적고 있다.

《오륜서》에는 "스물한 살이 되어 도쿄로 올라가, 천하의 무예가와 만나 수번의 승부에서 승리하지 않은 일이 없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천하의 무예가'란 요시오카 일족이라고 사료되고 있다. 이 결투는 문예작품 등에서 다양하게 각색되어 널리 알려졌다.

무사시가 치른 결투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간류지마 결투'이다. 부젠 고쿠라 번 영지의 후나지마에서 간류라는 병법가와 싸우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내용은 다양한 대중문예 작품의 제재가 되었다.

오사카 전투(1614년~1615년)에서 미야모토 무사시는 미즈노 가쓰나리의 객장(客将)으로 도쿠가와 가문 측에 속해 참진했고, 가쓰나리의 적자 가쓰시게와 함께 활약했다는 것이 많은 사료에 기록되어 있다.

그 후, 히메지 번의 번주 혼다 다다토키와 친분을 가졌고 아카시 지역에서는 도시 계획을 했으며 히메지, 아카시 등의 성과 사원에 정원을 조성하였다. 《海上物語》에서는 이 시기 신도무소류의 무소 곤노스케와 아카시에서 시합을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겐나 초엽, 미키노스케를 양자로 맞이하였고, 미키노스케를 히메지 성주 혼다 다다토키에게 출사시켰지만, 1626년 혼다 다다토키가 죽자 순사하였다. 이에 미야모토 가문은 미키노스케의 동생을 그의 후임으로 해 존속시켰지만, 같은 해에 이오리를 새로운 양자로 맞이하였고, 오가사와라 다다자네에게 출사시켰다. 이오리는 1631년 20세의 나이로 오가사와라 가문의 가로(家老)가 된다.

1638년에 일어난 시마바라의 난에서는 고쿠라 성주로 부임한 오가사와라 다다자네를 따라 이오리도 출진하였고, 무사시도 나카쓰성주 오가사와라 나가쓰구의 후견인으로 하여 출진하였다. 난이 진압된 후에 노베오카 성주인 아리마 나오즈미에게 보낸 무사시의 서찰에는 반란군의 투석에 맞아 부상을 입었다고 적고 있다. 또, 고쿠라에 머물러 있을 때 오가사와라 다다자네의 명령으로 다카다 요시쓰구와 시합을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오고 있다.

간에이 17년(1640년) 구마모토 성의 성주 호소카와 다다토시에게 손님으로 초대되어 구마모토로 가게 된다. 칠인부지(7人扶持) 18석에 구휼미 300석이 지급되었고, 구마모토 성 동부에 인접한 지바 성(千葉城)에 저택을 받았다. 가로(家老) 이상의 신분이 아니면 허가되지 않는 매사냥이 허용되는 등 파격적인 대우로 맞이하였다. 아시카가 요시테루의 남겨진 아들 아시카가 도칸과 함께 야마가 온천에 초대되는 등 호소카와 다다토시에게 존중받았다. 다음 해 다다토시가 죽은 후에도 2대 번주 호소카와 미쓰나오에게도 이전과 같이 매년 300석의 구휼미가 지급되어 빈객으로서의 대우를 받았다. 이 무렵 제작된 그림과 공예품 등이 오늘날에 전해져 온 것들이다.

간에이 20년(1643년) 구마모토 시 근교의 긴푸 산(金峰山)에 있는 레이간도 동굴에서 《오륜서》의 집필을 시작하였다. 또, 죽기 며칠 전에는 〈자철서〉(自誓書)라고 불리는 독행도와 함께 《오륜서》를 제자 데라오 마고노조에게 주었다.

조오 2년(1645년) 5월 19일(양력 6월 13일) 지바 성(구마모토)의 저택에서 세상을 떠났다. 향년 62세였다.

미야모토 무사시의 무덤은 일본 구마모토 시 유게(弓削)에 있는 통칭 무사시즈카이다. 기타큐슈 시 다무케 산에 양자 미야모토 이오리가 세운 《신멘 다케조 하루노부 니텐 거사비》 통칭 고쿠라 비문이 있다.

무사시의 무예는 처음에는 엔메이류라고 불렸지만, 《오륜서》에서는 니토이치류(二刀一流), 또는 니텐이치류(二天一流) 두 가지 명칭이 사용되었고, 최종적으로는 후자인 니텐이치류로 정착되었다고 여겨진다. 후세에는 무사시류(武蔵流) 같은 이름도 사용된다.

무사시가 구마모토에 머무르던 시절 제자 데라오 마고노조, 모토메노스케 형제가 있었고, 히고 구마모토 번에서 니텐이치류 검술이 융성하였다. 또, 마고노조의 제자 가운데 한 명인 시바토 산자에몬은 후쿠오카 번의 구로다 가문에 니텐이치류를 전수하기도 하였다.

5. 결투 전설에 관한 설들

(사사키 코지로)18세후타다 세이겐의 제자로 호소카와 타다오키가 등용한 부젠의 병법 사범.병법선사전기1782년(텐메이 2년)다니와 노부히데18세무사시 혼자츠다 코지로불명무니와 여러 번 싸워 결착되지 않은 부젠의 병법가.세이유잡기1783년(텐메이 3년)후루카와 코쇼켄불명문인의 무사 4명 여력사사키 간류불명이사키에서 도섬했다(나가토 측) 무예가.


5. 1. 간류지마 결투

미야모토 무사시와 관련된 지역이나 무술 장소에서 전해지는 이야기이지만, 명확한 근거나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사료를 바탕으로 한 것은 아니다.

6. 검술

젊은 미야모토 무사시가 목검을 휘두르는 모습


미야모토 무사시의 검술은 일반적인 검술과 달리 장검과 단검, 두 개의 검을 사용하는 것으로, 니토류(二刀流, 이도류) 혹은 엔메이류 검법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도 일본은 미야모토 무사시를 유파의 시조로 하는 니텐이치류와 다른 유파의 시조로 하는 유파가 전승되고 있다.

미야모토 무사시는 "니텐이치(二天一, 두 하늘이 하나됨)" 또는 "니토이치(二刀一, 두 칼이 하나됨)"라고 불리는, '니텐이치류'(금강경에서는 두 하늘을 부처의 두 수호신으로 언급함)라고 불리는 이도류 검술 기법을 창안하고 다듬었다. 이 기법에서는 검사가 큰 칼과 "짝 칼"을 동시에 사용하는데, 즉 카타나와 와키자시를 사용한다.[39]

절의 북 치는 사람들의 양손 동작이 그에게 영감을 주었을 수도 있지만, 이 기법이 무사시의 전투 경험을 통해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있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짓테 기술을 배웠는데, 짓테는 종종 칼과 함께 전투에서 사용되었다. 짓테는 적의 무기를 막고 무력화시키는 동안 칼로 공격하거나 적과 씨름을 했다. 오늘날 무사시의 검술 스타일은 표호 니텐이치류로 알려져 있다.[40]

무사시는 투척 무기의 전문가이기도 했다. 그는 짧은 칼을 자주 던졌고, 토키츠 켄지는 와키자시를 위한 수리검 기술이 니텐이치류의 비밀 기술이라고 믿는다.[41]

책에서 무사시는 전략에서 두 칼의 사용이 일대일 결투나 대규모 전투를 하는 사람들에게 모두 유익하다고 언급한다. 그는 칼을 양손으로 사용하는 것에 반대하는데, 양손으로는 자유로운 움직임이 없기 때문이다. "만약 양손으로 칼을 잡으면 좌우로 자유롭게 휘두르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제 방법은 한 손으로 칼을 잡는 것입니다." 그는 또한 말을 타거나 진흙탕, 논, 사람들로 가득 찬 곳과 같이 불안정한 지형에서 양손으로 칼을 사용하는 것에 반대한다.

니텐이치류의 전략을 배우기 위해 무사시는 양손에 긴 칼을 들고 훈련하면 양손으로 칼을 사용하는 번거로움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어렵지만, 그는 긴 칼을 양손으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숙련된 사람이라면 필요하지 않다고 말한다.

두 개의 긴 칼을 충분히 능숙하게 사용한 후에는 긴 칼과 "짝 칼"(아마도 와키자시)의 숙련도가 크게 향상될 것이다. "긴 칼을 휘두르는 데 익숙해지면 도의 힘을 얻고 칼을 잘 휘두를 수 있게 됩니다."

간단히 말해, 『오륜서』의 발췌문에서 볼 수 있듯이, 니텐이치류의 실제 전략에는 니텐이치류 스타일과 관련된 확실한 방법, 경로 또는 무기 유형이 없다.

7. 예술 활동

미야모토 무사시는 검법뿐만 아니라 저술과 그림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무사시 사후 21년이 지난 1666년(간분 6년)에 쓰여진 '카이죠이야기'에는 무사시가 그림을 그리는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그는 당대에 이미 화가로서 명성이 높았다. 현재 남아 있는 작품의 대부분은 말년의 작품으로 여겨지며, 구마모토의 작품은 호소카와가 가로(家老)이자 야쓰시로 성주였던 마쓰이가와 말년의 무사시를 돌본 테라오 구마스케 노부유키(寺尾求馬助信行)의 테라오(寺尾)가를 중심으로 남겨진 것들이 소유자를 바꿔 가며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수묵화에 대해서는 “이천(二天)”이라는 호를 사용한 것이 많다. 필치, 화풍과 화인, 서명 등으로 진위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명확한 결론은 나오지 않았다.[44]

분류:미야모토 무사시

분류:일본의 화가

분류:일본의 서예가

7. 1. 예술가로서의 무사시

미야모토 무사시는 검술뿐만 아니라 서예와 그림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그의 작품들은 대부분 말년에 제작되었으며, 특히 구마모토 지역을 중심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44]

무사시는 수묵화를 주로 그렸으며, "니텐(二天)"이라는 호를 사용했다. 그의 화풍은 가이호 유쇼의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도 있지만, 정식으로 그림을 배운 적은 없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무사시의 그림은 검과 선(禪)의 경지가 어우러진 작품으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전문 화가가 아니었기에 나타나는 미숙함과 소박함이 오히려 작품의 가치를 높인다는 평가도 있다.[44]

무사시의 주요 그림으로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있다.

작품명소장처
제도(두견새그림), 정면달마도, 문복포대도, 호안도(기러기 그림)영청문고
호엽달마도, 야마도(야생마 그림)마츠이 문고
고목명격도(고목위에 까치의 그림)이즈미시쿠보 기념관
주무숙도, 유압도(오리가 노니는 그림), 포대도오카야마 현립미술관
포대관투계도후쿠오카 미술관



미야모토 무사시의 ''고목명격도''


무사시는 그림 외에도 글씨에도 능했는데, 독행도(구마모토 현립미술관 소장), 전기(戰氣)(마츠이 문고 소장) 등이 그의 진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무사시의 공예품으로는 검은 칠을 한 안장, 후나지마 전투에서 사용한 목도를 본뜬 목도, 니텐이치류 수련용 목도 등이 남아있다.

무사시는 그의 저서 오륜서에서 "전략의 원리를 여러 예술과 기술의 방법에 적용하면 어떤 분야에서도 더 이상 스승이 필요하지 않다"라고 말하며,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재능을 발휘했다.[44] 그는 특히 파묵(破墨) 기법을 능숙하게 사용하여 고목명격도와 같은 걸작을 남겼다.[44]

7. 2. 오륜서

'''오륜서'''(五輪書|고린노쇼일본어)는 무사시가 집필한 병법서로, 무사시가 만년에 레이간도(霊巌洞) 동굴에서 2년에 걸쳐 저술한 작품이다. 1643년 집필을 시작하여 1645년 집필을 마쳤다. 책 제목대로 '땅(地), 물(水), 불(火), 바람(風), 하늘(空)'의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신이 걸어온 무사로서의 길을 간략하게 서술한 뒤, 무사로서 가져야 할 마음가짐 등을 담았다. 현재도 검도를 배우는 사람들 사이에 널리 읽히고 있다. 현재 원본은 전해지지 않으며 다수의 사본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서로 상이한 점이 많아 무사시 사후에 제자가 집필했다는 설도 있다.[29]

1641년 2월, 무사시는 호소카와 다다토시를 위해 '병법 삼십오계'(兵法三十五計, Hyoho Sanju Go)라는 저서를 집필했다. 이 저서는 후에 쓰여진 『오륜서』의 기초가 되었다. 1643년 그는 『오륜서』를 집필하기 위해 은둔자로서 '영안당'(Reigandō)이라는 동굴에 은퇴했다. 1645년 2월에 이 책을 완성했다. 5월 12일, 임종이 가까워짐을 느낀 무사시는 자신의 유품을 처분하고, 『오륜서』의 사본을 가장 가까운 제자였던 테라오 마고노죠의 동생에게 남겼다.[29]

7. 3. 그림

미야모토 무사시는 검법뿐만 아니라 저서와 그림으로도 유명하다. 그의 그림은 능숙한 수묵(墨) 사용과 간결한 붓놀림이 특징이며, 특히 파묵(破墨) 기법의 산수화를 능숙하게 구사했다.[44] 무사시는 "전략의 원리를 여러 가지 예술과 기술의 방법에 적용하면 어떤 분야에서도 더 이상 스승이 필요하지 않다."라고 말하며 서예와 전통적인 수묵화의 뛰어난 걸작들을 만들었다.[44]

1666년(관문 6년)에 쓰여진 『해상이야기』에 무사시가 그림을 그리는 이야기가 이미 기록되어 있다. 또한 『무공전』에는 "무공이 한가로이 지내며 연가 또는 서화, 소세공 등을 하며 세월을 보냈으므로, 무공이 만든 안양궁, 목도, 연가, 서화, 수다 등이 있다"고 쓰여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작품의 대부분은 말년의 작품으로 여겨지며, 구마모토의 작품은 호소카와가 가로(家老)이자 야쓰시로 성주였던 마쓰이가와 말년의 무사시를 돌본 테라오 구마스케 노부유키(寺尾求馬助信行)의 테라오(寺尾)가를 중심으로 남겨진 것들이 소유자를 바꿔 가며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수묵화에 대해서는 “이천(二天)”이라는 호를 사용한 것이 많다. 필치, 화풍과 화인, 서명 등으로 진위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명확한 결론은 나오지 않았다.

주요 그림은 다음과 같다.

소장처작품명
영청문고(永青文庫)『우도(鵜図)』, 『정면달마도(正面達磨図)』, 『면벽달마도(面壁達磨図)』, 『문복포대도(捫腹布袋図)』, 『로안도(芦雁図)』
마쓰이 문고『로엽달마도(芦葉達磨図)』, 『야마도(野馬図)』
와이즈미시 쿠보소 기념미술관(和泉市久保惣記念美術館)『고목명곡도(枯木鳴鵙図)』
오카야마 현립미술관(岡山県立美術館)『주무숙도(周茂叔図)』, 『유압도(遊鴨図)』, 『포대도(布袋図)』
후쿠오카시 미술관(福岡市美術館)『포대관투계도(布袋観闘鶏図)』



8. 문화 속의 무사시

미야모토 무사시는 검법뿐만 아니라 저서와 그림으로도 유명하다.[31] 간류섬의 싸움 등 무사시에 관한 이야기는 에도 시대부터 각색되어 가부키, 조루리, 강담 등의 소재로 사용되었다. 요시카와 에이지가 1930년대 아사히 신문에 연재한 소설 『미야모토 무사시』는 최강의 청년 검객 무사시의 이미지를 널리 알리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31]

무사시는 검술 외에도 다도, 노동, 서예, 그림 등 여러 예술 분야를 섭렵하며 무사의 길과 전략을 연마했다고 전해진다.[31]

무사시의 서예


무사시의 삶에 대한 기록에는 여성과의 관계가 드물게 언급되며, 그나마도 검술에 집중하기 위해 성적인 접근을 거부하는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32][33][34] 반면, 그의 무관심을 동성애의 징후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35] 그러나 많은 전설에서는 무사시가 여성들과의 만남을 갖는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그가 자신의 연구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육체적, 정서적 투자를 포기하기로 결정했다는 견해를 반영하기도 한다.[36]

이러한 문화적 시각은 『도보고엔』(1720)처럼 중년기에 기생 구모이와의 친밀한 관계를 전하는 고문헌들과는 다소 상반된다.[37] 『부슈 덴라이키』는 무사시가 기생과의 사이에서 딸을 낳았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이 기생이 구모이와 동일인물인지는 불확실하다.[32] 또한 무사시는 기생 요시노 다유와의 관계설에도 얽혀있다.[38]

8. 1. 창작에 영향을 끼침

에도 시대부터 간케이지마 전투 등 무사시와 관련된 이야기가 각색되어 가부키, 조루리, 강담 등의 소재로 사용되었다. 요시카와 에이지가 1930년대에 아사히 신문에 연재한 소설 『미야모토 무사시』에 의해 최강의 청년 검객 무사시의 이미지가 일반적으로 널리 자리 잡았다.[31]

무사시 시대에는 만화책과 유사한 허구적인 텍스트가 존재했으며, 그의 삶에 대해 논할 때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기 어렵다. 무사시에 대한 작품 또는 무사시를 등장시킨 허구 작품들이 많이 있다. 요시카와 에이지의 소설 (원래는 1930년대 일간 신문 연재)은 후속 허구적 묘사(여기에는 만화 바가본드(작가 이노우에 다케히코) 포함)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종종 사실적인 무사시의 삶에 대한 기록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캡콤의 비디오 게임 시리즈 온무샤의 온무샤 블레이드 워리어즈에서 무사시를 비밀 플레이 가능 캐릭터로 등장시켰다. 1994년 비디오 게임 라이브 어 라이브와 2022년 리메이크 작품은 에도 시대 황혼 장에서 무사시를 보스로 등장시킨다. 2008년 비디오 게임 용과 같이 견참!은 그의 삶과 성격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그는 또한 만화 바키 더 그래플러에 그의 진짜 영혼이 온전한 자신의 부활한 복제인물로 등장하며, 시리즈에서 가장 강한 전투원 중 한 명으로, 대부분의 전투에서 그의 이도류를 사용한다. 카드 게임 매직: 더 개더링에는 그의 기술인 두 개의 검을 하나로 합친 것을 따서 이신, 두 하늘이 하나로라는 그의 이름을 딴 카드가 있다.

2017년 비디오 게임 포 아너에서 "아라무샤" 영웅은 무사시에서 모티브를 얻었다. 이 캐릭터는 두 개의 검을 사용하는 낭인이다. 2023년 애니메이션 온무샤는 같은 이름의 비디오 게임 프랜차이즈를 바탕으로 하며 넷플릭스에서 제작되었다. 이 시리즈는 오니 건틀릿을 사용하여 초자연적인 악의 세력을 물리치기 위해 여정을 떠나는 나이든 무사시의 허구적인 모습을 묘사한다.

일본 실사 시리즈 가면라이더 고스트에서 무사시는 텐쿠지 타케루가 가면라이더 고스트로 사용하는 많은 루미너리 아이콘 중 첫 번째이다. 헤비메탈 밴드 아이언 메이든의 앨범 피스 오브 마인드에 수록된 노래 "Sun and Steel"은 미야모토의 삶을 바탕으로 한다.

8. 2. 영화

일본과 그 외 지역에서 만들어진 사무라이 영화의 많은 수가 미야모토 무사시의 일대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제목공개년도배급감독무사시 역
미야모토 무사시 땅의 권1936년신흥타키자와 에이스케아라시 간주로
미야모토 무사시 땅의 권1937년닛카츠이나가키 히로시카타오카 치에조
미야모토 무사시 바람의 권1937년도호이시다 타미조구로카와 야타로
미야모토 무사시 개척자들1940년닛카츠이나가키 히로시카타오카 치에조
미야모토 무사시 영달의 문1940년닛카츠이나가키 히로시카타오카 치에조
미야모토 무사시 검심일로1940년닛카츠이나가키 히로시카타오카 치에조
미야모토 무사시 일승사 결투1942년닛카츠이나가키 히로시카타오카 치에조
미야모토 무사시 결전 반냐쿠사카1942년다이토사이키 코조고노에 주시로
미야모토 무사시 이도류 개안1943년다이에이이토 다이스케카타오카 치에조
미야모토 무사시 결투 반냐쿠사카1943년다이에이이토 다이스케카타오카 치에조
미야모토 무사시1954년도호이나가키 히로시미후네 도시로
속 미야모토 무사시 일승사의 결투1955년도호이나가키 히로시미후네 도시로
미야모토 무사시 완결편 결투 간류지마1956년도호이나가키 히로시미후네 도시로
미야모토 무사시[53]1961년도에이우치다 토무나카무라 킨노스케(요로즈야 킨노스케)
미야모토 무사시 반냐쿠사카의 결투1962년도에이우치다 토무나카무라 킨노스케(요로즈야 킨노스케)
미야모토 무사시 이도류 개안1963년도에이우치다 토무나카무라 킨노스케(요로즈야 킨노스케)
미야모토 무사시 일승사의 결투1964년도에이우치다 토무나카무라 킨노스케(요로즈야 킨노스케)
미야모토 무사시 간류지마의 결투1965년도에이우치다 토무나카무라 킨노스케(요로즈야 킨노스케)
미야모토 무사시1973년쇼치쿠가토 다이다카하시 히데키


8. 3. 소설

요시카와 에이지, 시바 료타로, 시바타 렌자부로, 사사자와 사호 등 일본의 유명 소설가들이 미야모토 무사시를 소재로 한 소설을 발표했다. 이 중 요시카와 에이지의 작품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발표된 것으로 가장 유명하다.[31]

미야모토 무사시 관련 소설 목록
작가작품명발표 연도비고
요시카와 에이지미야모토 무사시1935년~1939년아사히 신문 연재
무라카미 겐조사사키 고지로1949년~1950년아사히 신문 연재
야마모토 주고로요조(よじょう)1952년
오야마카 쓰키요소레카라노무사시(それからの武蔵)1952년~1957년
고미 야스스케후타리노무사시(二人の武蔵)1956년~1957년, 1968년 개정
시바 료타로진설 미야모토 무사시(真説宮本武蔵)1962년
시바 료타로미야모토 무사시1967년
시바타 렌자부로결투자 미야모토 무사시(決闘者宮本武蔵)1970년~1973년
쓰모토 요미야모토 무사시1983년~1984년
사사자와 사호검성 미야모토 무사시1996년


8. 4. 만화

이노우에 다케히코의 만화 배가본드는 요시카와 에이지의 소설 《미야모토 무사시》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아오야마 고쇼의 만화 YAIBA에서도 미야모토 무사시가 등장한다.[31]

무사시 시대에는 만화책과 유사한 허구적인 텍스트가 존재했으며, 그의 삶에 대해 논할 때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기 어렵다. 요시카와 에이지의 소설(원래는 1930년대 일간 신문 연재)은 후속 허구적 묘사(여기에는 만화 바가본드(작가 이노우에 다케히코) 포함)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종종 사실적인 무사시의 삶에 대한 기록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2012년, 작가 션 마이클 윌슨과 일본인 아티스트 치에 쿠츠와다는 윌리엄 스콧 윌슨의 연구와 번역을 바탕으로 한 보다 역사적으로 정확한 만화인 ''The Book of Five Rings: A Graphic Novel''을 출판했다.

만화 바키 더 그래플러에서 무사시는 그의 진짜 영혼이 온전한 자신의 부활한 복제인물로 등장하며, 시리즈에서 가장 강한 전투원 중 한 명으로, 대부분의 전투에서 그의 이도류를 사용한다.

미야모토 무사시를 다룬 만화는 다음과 같다.

제목작가연도
스포츠맨 미야모토 무사시미즈키 시게루1958년
소문의 무사츠게 요시하루1965년
미야모토 무사시이시모리 쇼타로1971년
참살자 ―미야모토 무사시 이문원작: 카지와라 이키, 만화: 코지마 고우유1971년
무사시혼구 히로시1972년
무사시원작: 코이케 카즈오, 작화: 카와사키 노보루1974년
미야모토 무사시바론 요시모토1980년
미야모토 무사시우에키 킨야1984년
기카와 에이지 미야모토 무사시칸다 타케시1984년
야이바아오야마 고쇼1988년
무쓰 엔메이류 외전 수라의 각카와하라 마사토시1989년
바키 더 그래플러이타가키 에이스케1991년
무사시 고륜의 서보다쿠와다 지로1991년
이시노모리판 타치카와 문고 미야모토 무사시이시노모리 쇼타로1995년
더 승부!!시마모토 카즈히코1995년
바가본드원작: 기카와 에이지, 만화: 이노우에 타케히코1998년
간류야마네 카즈토시2000년 ~ 2003년
린카네이션의 꽃잎코니시 미키히사2014년
에후의 칠인야마구치 타카유키2015년 (에피소드 「미야모토 무사시 편」(전 7화)의 주인공)


참조

[1] 서적 Miyamoto Musashi: 17th century Japanese saber master: man and work, myth and reality; Miyamoto Musashi : maître de sabre japonais du XVIIe siècle : l'homme et l'œuvre, mythe et réalité https://www.worldcat[...] Editions désiris
[2] 서적 Niten Ki (A Chronicle of Two Heavens) Tokuma-shoten
[3] 서적 Book Of Five Rings Tuttle Publishing
[4] 서적 Go Rin No Sho Tokuma-shoten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Complete Musashi : the Definitive Translations of the Complete Writings of Miyamoto Musashi – JapanÆs Greatest Samurai. https://www.worldcat[...] Tuttle Publishing
[10] 서적 The Book of Five Rings: the classic text of Samurai sword strategy Barnes & Noble
[11] 서적
[12] 서적 Miyamoto Musashi: His Life and Writings Shambhala
[13] 웹사이트 牢人・宮本武蔵の関ヶ原合戦事情…東軍西軍のどちらに属し、主君は存在したのか https://sengoku-his.[...]
[14] 서적 大阪經大論集, Issues 282-284 https://books.google[...] 大阪經濟大學 2005
[15] 웹사이트 宮本武蔵に関する史料は、なぜ極端に少ないのか。その理由を考える https://news.yahoo.c[...] 渡邊大門 無断転載を禁じます。 LY Corporation
[16] 서적 忠実宮本武蔵 https://books.google[...] 百泉書房 1972
[17] 서적 忠実宮本武蔵 https://books.google[...] 百泉書房 1972
[18] 서적 『宮本武蔵奥伝(与水野日向守)』(小田原市立図書館蔵)、『兵道鏡』(高知城歴史博物館 山内文庫所蔵)
[19] 서적 The Lone Samurai: The Life of Miyamoto Musashi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2004
[20] 서적 Bokken: Art of the Japanese Sword Ohara Publications 1986
[21] 웹사이트 The Siege of Osaka Castle http://www.miyamotom[...] William de Lange 2019
[22] 웹사이트 Mizuno Katsunari (1564–1651) http://www.miyamotom[...] William de Lange
[23] 웹사이트 【寄稿17】宮本武蔵と水野勝成 『宮本武蔵の大坂夏の陣』1/2 https://mizunoclan.e[...]
[24] 서적 Miyamoto Musashi: His Life and Writings Shambhala Publications
[25] 웹사이트 Art of Miyamoto Musashi http://www.ecole-miy[...]
[26] 서적
[27] 웹사이트 宮本武蔵 – Musashi http://www.ecole-miy[...]
[28] 서적 宮本武蔵: 日本人の道 https://books.google[...] ぺりかん 2002
[29] 웹사이트 Musashi Miyamoto – the Legend http://kendo.com/miy[...] Scandnet AB
[30] 웹사이트 The sickle-spear of the Hōzōinryū (7) {{!}} SojutsuDE http://www.sojutsu.d[...] Ubusuna 2009-07-08
[31] 웹사이트 Ancient Wisdom for Modern Life: Five Lessons from Miyamoto Musashi's 'Way of the Warrior' – The Objective Standard https://theobjective[...] 2020-05-28
[32] 서적 The Five Rings: Miyamoto Musashi's Art of Strategy Book Sales
[33] 서적 Classics of Strategy and Counsel: Thunder in the sky Shambhala
[34] 서적 The Lone Samurai: The Life of Miyamoto Musashi Shambhala Publications
[35] 서적 Miyamoto Musashi: His Life and Writings Shambhala
[36] 웹사이트 Miyamoto Musashi https://www.nakasend[...]
[37] 서적 The Lone Samurai: The Life of Miyamoto Musashi Shambhala Publications
[38] 서적 Women of the Pleasure Quarters: The Secret History of the Geisha Broadway Books
[39] 서적 Secrets of the Samurai: The Martial Arts of Feudal Japan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40] 웹사이트 The life of Miyamoto Musashi http://niten.org/eng[...] 2019-01-15
[41] 웹사이트 Hyōhō.com http://www.hyoho.com
[42] 서적 Miyamoto
[43] 웹사이트 獨行道 http://www.pref.kuma[...]
[44] 웹사이트 Master Swordsman Miyamoto Musashi: The Man Behind The Book of Five Rings https://www.nippon.c[...] 2019-07-25
[45] 웹사이트 Budokan http://www.ecole-miy[...] 2020-08-12
[46] 웹사이트 the 10 th, Tadashi Chihara, hyouhou niten ichiryū musashi seitannochi https://54369d1c-e4d[...] 2020-04-11
[47] 웹사이트 Dojo Miyamoto Musashi http://www.dojo-miya[...]
[48] 웹사이트 Reportage – Dojo – France3 – Miyamoto Musashi School https://vimeo.com/38[...] 1999-02-01
[49] 웹사이트 Heiho Niten Ichi Ryu Memorial https://www.memorial[...]
[50] 웹사이트 いま鑑賞できる宮本武蔵 http://www.shimada-m[...] 2021-04-21
[51] 뉴스 「宮本武蔵肖像」剣聖の脱力とゆる体操 読売新聞 2021-04-18
[52] 간행물 黒田藩分限帖
[53] 영화 宮本武蔵 (内田吐夢監督作品)
[54] 에피소드 宮本武蔵 http://www.tvdrama-d[...] 2024-05-14
[55] 영화 宮本武蔵 (歌舞伎座テレビ映画部・関西テレビ製作作品)
[56] 영화 宮本武蔵 (1980年版)
[57] 웹사이트 馬場のぼる 宮本武蔵 おもしろブック付録 カバーなし 昭和28年 集英社 https://tomsbox.base[...] 2024-06-08
[58] 서적 放送の五十年 昭和とともに 日本放送出版協会
[59] 뉴스 「宮本武蔵肖像」剣聖の脱力とゆる体操 読売新聞 2021-04-18
[60] 간행물 黒田藩分限帖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